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

불교의 가치관, 무유정법 불교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종교로서의 불교를 생각한다. 그러나 불교는 여러 요소를 함께 내포하고 있다. 종교적인 부분, 철학적인 부분, 과학적인 부분, 윤리적인 부분들도 있다. 불교는 이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이 모든 것을 초월하고 있다. 불교의 여러 가지 측면 1. 종교적 요소 - 부처님을 믿고 따른다, 삼보에 귀의한다고 할 때는 그 믿음이 매우 중요시된다. 이것은 불교의 종교적인 부분이다. 2. 철학적 요소 - 불교의 가르침은 매우 합리적이다. 믿음만 갖고 되는 게 아니라 그 자체가 굉장히 합리적이다. 철학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3. 수행적, 실천적 요소 그러나 철학만으로는 불교를 설명할 수 없다. 철학은 사유하고 사색을 하는 것인데 불교는 우리의 사유와 사색을 버리는 경지에 있다. 사유.. 2022. 8. 4.
수행자들의 공동체 승가의 특징과 화합하는 여섯 가지 조건 삼귀의, 불자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것은 불. 법. 승 삼보에 귀의하는 것이다. 삼보에 귀의하는 의식은 나무 불, 나무 법, 나무 승, 귀의 불, 귀의 법, 귀의 승, 나무 붓다, 나무담마, 나무 상가이다. 수행자들의 공동체 승가는 어떤 곳이며 특징과 화합할 수 있는 여섯 가지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삼귀의 귀의 불 부처님이란 깨달은 이를 말하며 나도 마침내 깨달아서 붓다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거룩한 인격을 가진 부처님께 귀의한다는 뜻도 되고 나도 부처가 되겠다는 원을 말하기도 하는 것이다. 귀의 법 부처님 법에 귀의한다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은 나를 깨닫게 해주는, 내가 붓다가 되도록 하는 그런 가르침이다. 가르침의 요지는 모든 괴로움은 내가 만든 것이고 나의 어리석음으로부터 빚어진 것이고 만약.. 2022. 8. 4.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 불교의 세 가지 보배가 있다. 바로 불, 법, 승 삼보이다. 대승불교에서의 삼보는 불보, 법보, 승보로 나눌 수 있고 세 종류의 삼보인 삼종삼보는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로 나뉜다. 대승불교에서는 반드시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또는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또는 나무붓다, 나무담마, 나무상가.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부처님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이렇게 삼보를 하고 시작한다. 그 삼보에 대해 알아보자. 삼종삼보 -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 동체삼보 불법승 나눠져 있지만 사실은 불법승이 하나라는 의미이다. 부처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가 깨치면 부처고, 법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 맘이 고요하면 법이다. 승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 맘이 청정하면 승이다. '내 맘 깨.. 2022. 8. 3.
불.법.승 삼보와 상좌불교에서의 삼보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 또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얻은 이들. 이를 불. 법. 승이라고 말한다. 이 불법승에 우리가 귀의하고 의지해야 한다. 우리가 가야 할 목적지는 붓다, 그를 향해 가는 방법인 붓다의 가르침, 그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 이 셋을 떠나서 불자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불자에겐 이 것이 가장 소중하다. 불. 법. 승. 삼보 깨달은 이, 붓다 깨달은 이가 어떻게 인생을 살았느냐? 그래서 우리는 부처님의 삶을 공부해야 한다. 붓다를 공부하다 보면 그에 대한 존경, 찬탄이 생긴다. 내 마음속에서 나도 저렇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생긴다. 그래서 첫째로 깨달은 이, 붓다를 우리가 의지해야 된다. 이 말은 나도 붓다처럼 되고 싶다. 나도.. 2022.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