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들의 공동체 승가의 특징과 화합하는 여섯 가지 조건
삼귀의, 불자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것은 불. 법. 승 삼보에 귀의하는 것이다. 삼보에 귀의하는 의식은 나무 불, 나무 법, 나무 승, 귀의 불, 귀의 법, 귀의 승, 나무 붓다, 나무담마, 나무 상가이다. 수행자들의 공동체 승가는 어떤 곳이며 특징과 화합할 수 있는 여섯 가지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삼귀의 귀의 불 부처님이란 깨달은 이를 말하며 나도 마침내 깨달아서 붓다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거룩한 인격을 가진 부처님께 귀의한다는 뜻도 되고 나도 부처가 되겠다는 원을 말하기도 하는 것이다. 귀의 법 부처님 법에 귀의한다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은 나를 깨닫게 해주는, 내가 붓다가 되도록 하는 그런 가르침이다. 가르침의 요지는 모든 괴로움은 내가 만든 것이고 나의 어리석음으로부터 빚어진 것이고 만약..
2022. 8. 4.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
불교의 세 가지 보배가 있다. 바로 불, 법, 승 삼보이다. 대승불교에서의 삼보는 불보, 법보, 승보로 나눌 수 있고 세 종류의 삼보인 삼종삼보는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로 나뉜다. 대승불교에서는 반드시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또는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또는 나무붓다, 나무담마, 나무상가.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부처님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이렇게 삼보를 하고 시작한다. 그 삼보에 대해 알아보자. 삼종삼보 -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 동체삼보 불법승 나눠져 있지만 사실은 불법승이 하나라는 의미이다. 부처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가 깨치면 부처고, 법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 맘이 고요하면 법이다. 승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 맘이 청정하면 승이다. '내 맘 깨..
2022.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