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세 가지 보배가 있다. 바로 불, 법, 승 삼보이다. 대승불교에서의 삼보는 불보, 법보, 승보로 나눌 수 있고 세 종류의 삼보인 삼종삼보는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로 나뉜다.
대승불교에서는 반드시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또는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또는 나무붓다, 나무담마, 나무상가.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부처님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이렇게 삼보를 하고 시작한다. 그 삼보에 대해 알아보자.
삼종삼보 - 동체삼보, 별상삼보, 주지삼보
동체삼보
불법승 나눠져 있지만 사실은 불법승이 하나라는 의미이다.
부처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가 깨치면 부처고, 법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 맘이 고요하면 법이다. 승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내 맘이 청정하면 승이다.
'내 맘 깨달으면 부처요, 내 맘 고요하면 법이요, 내 맘 청정하면 승이다'는 것이 동체 삼보이다.
별상삼보
불법승 삼보가 모두 모양이 다르다는 것이다. 불보는 법신, 보신, 화신을 법보는 경률론 삼장을, 승보는 성문, 연각, 보살을 말한다.
1. 불보
[법신] - 진리 그 자체를 말한다. 비로자나불, 청전법신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
[보신] - 노사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이라고 한다.
[화신] - 천백억 화신, 석가모니불이다. 화신이라는 것은 모든 경우에도 몸을 나투는 자, 인연을 따라 몸을 나투기 때문에 그것은 수천, 수만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석가모니 부처님은 천백 억까지 몸을 나투신 화신에 속한다.
2. 법보
부처님의 가르침만 법보가 아니고 부처님의 이치, 부처님의 행, 그리고 거기서 얻어지는 과보도 법보에 속한다. [교리행과]를 법보라고 한다.
3. 승보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은 이가 승보이다. 부처님은 스스로 깨달은 이이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은 이가 승에 속한다. 못 깨달은 이는 승보가 아니다. 깨달은 이, 승보는 네 종류가 있다.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이를 성문사과라고 한다.
<수다원> 처음 깨달은 이, 지혜의 눈을 처음 연 자를 수다원이라고 한다. 성인의 길에 첫발을 내디딘 자. 성인의 류에 들었다 해서 '입류', 예비자다 해서 '예류'라고 한다. 수다원 밑에는 못 깨달은 자, 헤매는 자이기 때문에 범부중생에 속한다. 출가해서 스님이 됐다 하더라도 깨닫지 못한 자는 승보에 들어갈 수가 없다. 경계에 딱 부딪히면 이치대로 안 되고 그냥 원래 하던 대로 가버리게 되는데, 이때 넘어졌는데 금방 알아차리고 일어나는 것을 되풀이하는 수준을 [수다원]이라고 한다.
<사다함> 이 세상에 한 번 더 윤회한다. 한번만 더 경계에 팔려 실수하는 것. 그다음주터는 내가 딱 알아차려서 더 이상 안 넘어지는 단계에 까지 도달하면 [사다함]이라고 한다.
<아나함> 이번에 넘어진 걸로 끝이다, 다시는 안 넘어진다, 다시는 윤회하지 않는 수준이 [아나함], [불환]이다.
<아라한> 이미 넘어짐이 없는 수준을 [아라한]이라고 한다.
이들 모두 성인, 깨달은 이에 속한다. 깨달은 이 안에 수다원을 향해 가는 자가 있고 수다원과를 증득한 자가 있고 사다함을 향해 가는 자가 있고 사다함을 증득한 자가 있고 아나함을 향해 가는 자, 아나함을 증득한 자, 아라한을 향해 가는 자, 아라한을 증득한 자, 이렇게 여덟 가지를 '사향 사과' 또는 '팔배 현성'이라고 한다.
주지삼보
부처님이 계시지 않는 이 세상에서 불법을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삼보이다.
부처님의 모양을 한 불상과 부처님을 그린 탱화를 부처님으로 모신다.
부처님의 말씀이 기록된 경율론 삼장, 팔만대장경, 소승 12부 경전 등 경전이 법보이다.
승보는 부처님이 계시지 않는 세상에서 정식으로 절차를 거치고 머리를 깎은 스님, 출가오중은 모두 승보이다.
대승불교에서의 삼보
1. 불보
법신, 보신, 화신을 불보라고 하며 이를 불삼신이라고 한다. 부처님에게는 세 가지 몸매가 있다. 법신, 보신, 화신이다. 그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이라고 한다.
2. 법보
법에는 경장, 율장, 논장 이렇게 삼장이 있다. 경률론 삼장을 법보라고 한다.
3. 승보
승에는 성문승, 연각승, 보살승 이렇게 삼승이 있다.
<성문승>은 부처님 당시에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깨달은 이를 말한다. [문혜]를 증득한 자라는 뜻이다.
<연각승>은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뒤에 부처님의 법문의 이치를 터득해서 증득하여 깨달음을 얻은 이를 말한다. 연각승은 사유해서 얻은 지혜, 즉 [사혜]를 증득한 자라는 뜻이다.
<보살승>은 '상구보리 하화중생'하는 직접 경험하고 실천을 통해서 깨달음을 얻은 자이다. [수혜]를 증득한 자를 말한다.
누구나 깨닫겠다고 마음을 낸 자는 다 보살이 될 수 있으므로 보살승은 사부대중- 비구(남자 스님), 비구니(여자스님), 우바새(남자 신도), 우바이(여자 신도)-으로 구성된다. <법륜스님의 법문 중에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