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0 총정리 - 불교의 관점 불교에서의 관점은 진실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어리석어 진실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갖가지 두려움과 고통이 생겨난다. 그렇기 때문에 먼저 어리석음을 타파하고 지혜의 눈을 떠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봐야 한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실상]이라고 한다. 이것이 [연기법]이다. 내가 이 실상을 모르면 고가 발생하고 이 실상을 알게 되면 즉 깨닫게 되면 고는 사라진다. 이 실상을 한마디로 [연기]라고 하고 연기를 둘로 나누면 [무상]과 [무아]라고 하고 다른 말로 [공]이라고 한다. 우리는 모르기 때문에 고통을 자초한다. 고통은 남이 주는 게 아니라 자기가 초래하는 것이다. 자신의 무지가 고통을 초래한다. 불교의 관점 - 중도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깨우칠 수가 있느냐, 이럴 때 기본적으로 접.. 2022. 8. 21. 종교로서의 불교 진리로서의 불교 불교 안에 믿고 의지하는 종교적인 요소가 있어서 믿음과 신앙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로서의 불교가 있고, 법을 깨우치고 해탈과 열반을 증득하는 진리로서의 불법이 있다. 진리로서의 불법을 행하는 자들은 법을 이해하고 법을 실천해서 증득하는 수행을 중심으로 하고 불보살을 믿는 신앙으로써의 불교에서는 부처님에 대한 믿음을 중요시한다. 이것이 현실에 있는 불교의 모습이다. 그래서 책에 있는 진리로서의 불교와 실제 현실에 있는 종교현상으로의 불교는 많은 차이가 있다. 현실에 있는 불교의 모습 그럼에도 불교가 역사적으로 전승되고 유지된 배경으로는 신앙으로서 불교의 힘이 크다. 조선시대에 극심한 탄압을 받으며 산으로 숨고, 여성과 평민들을 중심으로 신앙으로 불교가 유지되었다. 또한 일반인들은 불법을 알기보다는 자신의 고.. 2022. 8. 18. 종교의 탄생 불교의 특징 인간은 누구나 다 살아가면서 괴로움에 부딪힌다. 여러 일들이 뜻대로 되지 않으면 괴롭고 두렵고 화나고 짜증 나고 미워지고 원망하고 슬프고 고독하고 여러 괴로움을 겪는다. 이런 괴로움을 겪을 때마다 인간은 이를 극복하고 괴로움에서 벗어나서 좀 더 행복하게 살기를 원한다. 그러나 우리가 원하는 것들이 쉽게 잘 안 이루어진다. 그러다보니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인생이라는 것은 사람의 힘만으로는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사람보다 힘 더 센 자, 신의 힘을 빌려서 자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신이라는 존재가 생겨난 것은 인간이 해결하지 못해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간보다 더 능력 있는 자를 필요로 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이 종교의 탄생 이유이다. 종교의 탄생 인간이 어떻게 할 수 .. 2022. 8. 17. 기도 불교는 자기를 늘 돌이켜 뉘우치는 것, 이것을 기도라고 하지 않고 수행 또는 정진이라고 한다.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기도라고 말한다. 기도는 주로 내가 원하는 것을 신에게 빌어서 성취하는 것을 말한다. 기도라는 말속에는 기복적 요소가 들어있다. 복을 비는 마음이 들어 있다. 이것이 종교의 본래 특성이다. 모든 종교에는 다 이런 요소가 있다. 일반적 의미의 기도 종교로서의 불교는 기복적인 요소가 매우 많다. 거의 기복적 요소로 채워져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모든 종교, 민간신앙까지 다 기본적으로 기복적 요소가 들어있다. 기도에 기복적 요소와 수행적 요소가 있다면 우리는 어느 쪽에 더 집중하려고 하는가? 수행적 요소, 진리적 요소를 더 중요시 하려는 것이다. 그럼에도 오랜 역사 속에서 몸담고 있기 때문에 우.. 2022. 8. 16. 이전 1 2 3 4 ··· 15 다음